김광한 Kwanghan, Kim


Artist Biography

아름다움 너머의 슬픔 김광한의 지독한 그리기

박준헌(미술이론)

   

   

삶은 가혹하거나 덜 가혹하거나 둘 중 하나다각자의 자리에서 그 가혹함을 견디는 것이 삶이다삶은 잔인하거나 덜 잔인하거나 둘 중 하나다이 잔인함을 견디는 것이 삶이다삶이 행복과 아름다움으로 이루어졌다면 우리에게 예술은 필요 없을지 모르겠다역설적이게도 삶은 가혹하고 잔인하기에 우리는 예술을 통해 삶을 위안할 수 있고 그 고통을 마주할 수 있다인간이 삶에 대해 노래하고그리고쓰는 이유다지식의 유일한 원천이 경험이라면 예술의 유일한 바탕은 잔인하고 가혹한 삶에 대한 연민이자 사랑이다그리고 그 시작은 우리들 눈에 아름답고 화려하게 보이는 것들의 이면에는 부박한 것들이 있음을 알아야 하는 것이고세상이 아름답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그것이 예술가의 시선이고 출발이며여기서 얻어지며 우리가 보는 모든 작품은 결국 삶 속에서 얻어진 어떤 흉터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향기가득이라 명명되어진 김광한의 작품 역시 그의 삶 속에서 마주한 어떤 상처이며나아가 삶을 산출하는 좌표이기도 하다그의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지식이 아닌 몸으로 체득된 사실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허무하고 거창한 담론으로 점철된 화면이 아닌 자신의 노동으로몸으로 아주 조금씩 그리고 또 그려서 완성되어진 화면임을 알 수 있다여기서 농부가 땅을 대하는 어떤 운명 같은 것을 본다농부가 땅을농사를 아름답고 친숙함으로 대해서는 절대 농부가 될 수 없듯이 그 또한 대상을 친숙함으로 화면을 흥미로 다루진 않는다그런 의미에서 그는 화면을 경작하는 농부와도 같다비록 그 결과가 우리를 배불리 먹일 수 있는 쌀과 곡식이 아닐지라도예술가의 숙명이다.

그의 작품에는 고도의 노동력이 집약되어 있고그 안에는 어떤 절박함이 존재한다. ‘절박함이라고 하면 추상적일 수 있겠지만 그 단어 속에는 삶 속에 본래 내재해 있는 생존과 그 혹독한 시간을 견뎌내야만 하는 우리들혹은 작가 자신의 이야기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물론 그의 지독한 그리기에는 그 생존을 위한 경건함을 동반하고 있는데이는 어떤 극한에 직면해 본 자의 정서 같은 것이 베어 있다그것은 매끄러운 삶의 표면을 부유하는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진실이며그 진실들에 외경심을 가진 이 만이 말할 수 있는 절박함이다그래서 슬프다

김광한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아름답고 탐스런 그림 너머의 세계작품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세계그리고 나아가 그 작품을 통해 그가 다가서려는 세계는 바로 생존에 대한 절박함과 그 진실들에 대한 생생함이 공존하는 세계일 것이다그 세계가 비록 실재하지 않고 자신의 작품을 매개로 한 화면 안에서의 예술적 개념(槪念)이라 할지라도 그는 삶에 대한 경건함을 예술적 유희가 아닌 노동의 극단으로 내 몸을 밀어 붙여 증명한다그래서 그의 작품은 더욱 슬프다.

그는 작품에서 주로 모과석류대추 등 과일들을 다루고 있다이러한 과일들은 그의 미감에 의한 재배치와 표현을 통해 시리도록 화려하고형언할 수 없는 청량감으로 우리의 시선을 사로 잡는다혹자는 이러한 그의 그리기 방식을 극사실이니 혹은 하이퍼리얼이니 하는 어떤 하나의 틀로 규정하기도 한다하지만 그의 작품들을 이러한 기법이나 이미 존재했던 하나의 형식으로 바라 본다면 극히 협소한 해석이다그는 실재(實在)하는 과일을 미술이라는 예술적 형식을 통해 재현하기 보다는 이러한 과일들을 통해 인간의 눈이회화가 가시적으로 가질 수 있는 아름다움의 완벽이 어디까지인지를 가보고자 하며그것이 과연 진정한 아름다움일까를 되묻는다놀라운 집중과 우직한 그리기를 통해서아무튼 그의 회화적 실험을 무어라 부르고 정의 내려야 할지는 모르겠지만기존의 인식되고 있는 극사실 경향의 회화 작품들을 넘어서는 성과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다시 한번 주지할 것은 표면이 아니고 이면이다진정한 아름다움은 표면에 보이는 것이 아니고 이면에 감추어져 있고 드러나지 않는 의미이다그 의미가 우리를 더욱 자유롭게 할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우리는 현실을 자각하고 인식하는 매커니즘에서 어떤 근본적인 지각변동을 경험하고 있다이제는 동일한 풍경이나 회화에도 불구하고 세대에 따라 인지하는 상상의 층위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마찬가지로 한 작가의 작업에 대해 같은 기억을 소유하고 있는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가 작품에서 동일한 세계와 의미를 볼 수는 없다특히김광한처럼 세월의 변천에 따라 그 의미나 자격이 상실되어 버린 대상을 다루는 작가일 경우 그런 반응은 더욱더 확연하다농경사회의 기억을 가진 세대가 바라보는 김광한의 작품과 산업화 되고 현대화된 기억을 가진 세대가 바라보는 김광한의 작품에는 간극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며우리에게 그의 작품은 그 사이 어디쯤에 놓여 있을 것이다그것은 크게는 실재와 이미지의 차이일 수도 있으며작게는 그것을 기억하고 싶은 세대와 망각하고 싶은 세대의 차이일 수도 있겠다그 차이를 등가로 규정할 순 없겠지만그렇다 하더라도 그 양자의 세대가 김광한의 작품이 갖고 있는 삶의 근원을 되돌아보는 행위흔히 진정성이라 불리는 존재의 어떤 중심으로 육박해 들어가려는 노력과 실천그리고 열망의 매개물로서 그의 작품을 주목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다시처음으로 돌아가서 현대사회에서 예술 역시 개량화와 표준화의 숙명을 비켜갈 순 없겠지만우리의 의식과 감정 역시 획일화를 피해갈 순 없겠지만세상이 보다 더 아름답고 화려하기 위해서는 그 내면의 생산자들은 더욱 고통을 감내하고 희생해야 하겠지만적어도 그것을 외면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 자유를 구속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유행과 트렌드를 쫓기 보다는 자신의 삶과 상처를 드러내 서로를 치유하고희미한 기억일지라도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김광한의 노동의 붓질이 있기에 나의 상처를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생기고 그 자리에서 새 살이 돋고 다시 경건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희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EXHIBITIONS


2018   대백플라자갤러리 초대전(서울)

2018   통인화랑 초대전(서울)

2016   현대백화점 갤러리 무역센타점(서울)

2016   갤러리전 초대전(대구)

2015   이정 갤러리 초대전(서울)

2015   아트팩토리초대전(서울)

2015   호감갤러리 초대전(서울)

2014   아트지앤지초대전(대구)

2014   이정 갤러리 초대전(서울)

2014   아트팩토리초대전(서울)

2013   갤러리전초대전 (대구)

2012   현인 갤러리 초대전(제주)

2011    카이노스 갤러리 초대전(서울)

2011    아트지앤지 초대전 (대구)

2010   통인 옥션 갤러리 초대전(서울)

2009  갤러리고동초대전(서울)

2009  갤러리 아트 청담 초대전(청도)

2009  통인 옥션 갤러리 초대전(서울)

2008  물파 스페이스 신진작가 기흭 초대전(서울)

2008  동아미술관 초대전(대구)



2010   한국현대 미술제(한가람미술관)

2009  한국구상대제전(한가람 미술관)

2008  골든 아이아트페어 (서울코엑스)

2007  한국구상대제전(한가람 미술관)

2007  일본 키타큐슈(일본)

2007  메트로 갤러리 기획 초대전(대구)

2006  인사아트프라자 초대전(서울)

2005  아트서울전(한가람 미술관)


아트 페어 및 그룹전 200여 회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대구은행, 삼화 여행사

㈜ 동아 알루미늄, 서산 검찰청외 개인소장